[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국내 대기업의 중고 신입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21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121개 사 응답)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하반기 주요 대기업 대졸 신규채용 계획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대졸 신입직원 28.1%는 이미 경력이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하반기 주요 대기업 대졸 신규채용 계획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대졸 신입직원 28.1%는 이미 경력이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연합뉴스)

이는 작년 조사에서 집계된 중고 신입 비중(25.8%)보다 2.3%포인트 오른 수준이다.

중고 신입의 평균 경력 기간은 1∼2년(46.5%)이 가장 많았다. 6개월∼1년(38.6%), 2∼3년(7.9%), 3년 이상(5.3%), 6개월 미만(1.7%) 순이다.

기업 매출액 순위가 낮을수록 2∼3년 경력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00대 기업과 101∼200대 기업에서는 2∼3년 경력 선호 응답이 0%인 데 반해 300∼500대 기업에서는 12.2%를 기록했다.

올해 하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 인원에서 경력직 채용 비율은 평균 26.9%로 조사됐다. 경력직 채용 비중은 50% 이상(15.7%), 20∼30%(14.1%), 0∼10%(13.2%), 40∼50%(12.4%) 등 순으로 컸다. 경력직 채용 계획이 없는 기업은 22.3%였다.

48.8%에 달하는 기업은 올해 하반기 수시채용 계획이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재계 관계자는 "경영 여건이 어렵다 보니까 기업이 채용을 보수적으로 실시하는 경향이 있다"며 "예전처럼 회사가 신입사원을 뽑아 트레이닝하는 것이 아니라 직무 능력을 갖춘 사람을 뽑으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시채용은 공개채용과 달리 기간을 정하지 않고 수요가 생겼을 때 채용하는 방식으로 경력자들에게 좀 더 유리하다고 평가다.

다만 1∼100대 기업에서는 수시채용 계획 있음 비중이 30.0%로 전체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삼성이 국내 주요 대기업 중 유일하게 공채 제도를 유지하는 상황이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수시채용 계획이 있는 기업(59개사)을 대상으로 공개채용과 수시채용의 비중을 조사한 결과 수시채용이 79.5%, 공개채용이 20.5%로 나타났다.

재계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대졸자 공채 제도를 가진 나라는 한국과 일본 정도"라며 "국내 기업들도 수시, 경력 중심의 채용 트렌드로 옮겨가는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대기업 대졸 신입직원의 평균 연봉은 4671만원으로 조사됐다.

4000만∼4500만원이 26.5%, 5000만∼5500만원 23.1%, 4500만∼5000만원 19.0%였다.

기업 순위별로 1∼100대 기업은 5250만원, 101∼200대 기업은 5000만원, 300대 이상 기업은 4305만원으로 집계됐다.

하반기 채용시장의 변화로는 수시채용 증가(22.0%)가 가장 많이 꼽혔다. 경력직 채용 확대(19.5%)가 뒤를 이었다. 중고신입 선호 현상 심화와 조직문화 적합성 검증 강화가 나란히 16.2%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