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미국 관세 불확실성 지속에도 내수와 제품단가 상승 등에 힘입어 전체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돌고 있다.
산업연구원은 지난 8∼12일 업종별 전문가 122명을 상대로 전문가 서베이 지수(PSI)를 조사한 결과 10일 제조업 업황 전망 PSI가 102로 기준치를 웃돌았다고 21일 밝혔다.
산업연구원은 지난 8∼12일 업종별 전문가 122명을 상대로 전문가 서베이 지수(PSI)를 조사한 결과 10일 제조업 업황 전망 PSI가 102로 기준치를 웃돌았다고 밝혔다.(사진=연합뉴스)
PSI는 0∼200의 범위에서 100(전월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개선 의견이 많다는 의미다. 반대로 0에 근접할수록 업황 악화 의견이 우세함을 나타낸다.
10월 업황 전망 PSI는 전월(105)보다 3포인트 내려갔지만 4개월 연속 기준치를 상회했다.
투자액(101→104), 채산성(99→102), 제품단가(109→113)가 전월보다 개선되며 모두 기준치를 넘었다.
내수(104→102), 생산수준(105→101), 재고수준(114→110)은 전월 대비 하락했지만 기준치를 웃돌았다.
수출(98→98)은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으로 7개월째 기준치를 밑돌았다.
10월 세부 업종별 전망을 보면 반도체(132), 바이오·헬스(127), 섬유(115)는 업황이 개선 전망이 우세했다.
디스플레이, 휴대전화, 화학, 철강은 각각 100으로 나타나 전월 수준과 같을 것으로 전망됐다.
조선(80), 자동차(81), 가전과 기계(각 89) 네 업종은 업황이 나빠질 것으로 예상됐다.
9월 제조업 업황 현황 지수는 107로 전월 대비 5포인트 상승해 3개월 연속 기준치를 웃돌며 업황 개선 의견이 우세했다.
내수(99→106), 수출(93→103), 생산수준(99→105)이 기준치를 다시 상회했다.
재고수준(115→113), 투자액(100→102), 채산성(101→105), 제품단가(107→108)도 모두 기준치를 웃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