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현대차와 도요타가 자동차업체들의 신용등급과 전망이 하락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경영 안정성을 인정받았다.
9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는 최근 현대차의 신용등급을 A-, 도요타는 A+로 신용등급을 유지했다. 전망은 '안정적'이라고 분석했다.
피치의 신용등급 체계상 A+와 A-는 각각 20개 등급 중 상위 5번째, 7번째에 해당한다. 신용 상태가 양호해 위험이 낮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피치는 현대차와 도요타가 미국 상호 관세에 따른 단기 수익성 저하에도 제품·브랜드 경쟁력과 판매지역·파워트레인 다변화, 재무 건전성을 고려해 등급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다만 다른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의 신용등급과 전망은 일제히 하향했다. 닛산의 신용등급은 올해 투자부적격 등급인 BB로 강등됐다. 혼다와 폭스바겐은 각각 A와 A- 등급을 유지했으나 전망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됐다.
업계에서는 해당 브랜드들의 신용 등급이 하향 조정되면 A- 등급 이상에는 아시아 자동차 브랜드만 남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창호 한국투자증권 위원은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친환경차 선호도가 높아지며 친환경차 라인업을 갖춘 현대차와 도요타의 약진이 두드러진다"며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전기차 보조금과 최저 연비 기준(CAFE) 관련 벌금이 없어지면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보유한 한국과 일본 완성차의 점유율이 확대될 것이다"라고 예상했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가 다각화된 포트폴리오와 그룹사 시너지 등 요인들을 통해 비우호적인 경영환경 속에서도 체력을 키웠다는 해석 역시 나온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