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이진성 기자] 한국철도공사(코레일)과 에스알(SR)의 철도서비스 통합 논의가 속도를 내는 상황에서 결국 기관 통합으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다만 기관간 추구하는 방향이 현저히 다르다는 점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29일 철도업계에 따르면 이날 국토교통부는 고속철도운영사의 서비스 통합 논의를 위한 2차 간담회를 진행한다. 정부는 서비스 기능이 유사한 코레일과 SR의 철도서비스 기능을 통합해 이용객 편의를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최근 KTX와 SRT 예매를 통합하는 방침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다. 표면적으로는 KTX와 SRT 등의 철도 서비스 통합이지만 이후 기관 통합도 검토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하지만 각 기관의 이번 논의에 대한 입장은 명확히 다르다.
먼저 코레일은 최근 기관 통합을 염두에 두고 고속철도통합추진단을 전격 출범했다. 목표를 보면 '안정적 SR 통합 운영을 위한 조직, 인력, 운영 체계, 제도 등 과제 발굴·추진이다. 정부와 SR이 서비스 통합으로 선을 긋는 반면 코레일은 기관 통합을 명확히 하고 있는 셈이다. 부채가 21조원에 달하는 코레일 입장에선 조직 통합이 구조조정 등 경영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최선의 방법으로 보여진다.
반면 SR은 기관 통합이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소비자가 얻을 이익과 경영 효율성 등이 명확하게 수치로 제시되고 나서 논의가 이뤄져야 하는데 단지 유사한 기능이라는 이유로 거론되는 것 자체가 적절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또 경쟁이 사라져 철도 요금 등 측면에서 소비자 부담만 가중될 것으로 보고 있다.
SR 관계자는 "국토부에서도 철도 서비스 관련 통합을 전제로 하고 있고 소비자 편의성 등을 고려해 방침에 따른다는 입장"이라며 "다만 기관 통합은 논의 대상도 아니고 생각해 본적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일각에서는 조직 규모상 SR 구성원의 피해를 우려하기도 했다. 지난 2021년 광물공사와 광해공단이 한국광해공단으로 통합된 당시 자본잠식 상태였음에도 조직 규모가 크다는 이유로 광물공사 직원들이 주요 보직을 상당수 가져간 사례 때문이다. 이후 논란이 확산되자 뒤늦게 광해공단 직원 수십명을 승진시키며 사태를 수습했다.
철도업계 관계자는 "정부는 서비스 통합 후 상황을 보고 기관 통합을 검토해 보자는 입장"이라며 "불필요한 논란을 막기 위해서는 서비스 및 기관 통합시 소비자 편익, 경영효율성 등이 명확하게 수치로 제시돼야 하고 이후 각 이해관계자들간 충분한 논의도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