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LG AI연구원이 글로벌 AI 공룡 OpenAI에 정면 도전장을 냈다. 자체 개발 AI 모델 '엑사원'으로 챗GPT와 같은 성능을 10분의 1 가격에 제공하겠다는 파격 선언이다.

연구원은 22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AI 토크 콘서트 2025'를 열고 엑사원 생태계를 처음 공개했다.

발표 중인 임우형 LG AI연구원 공동 연구원장 (사진=LG AI 연구원)

핵심은 하이브리드 AI 모델 '엑사원 4.0'이다. 대규모 언어 모델과 추론 AI를 결합한 국내 첫 모델이다. 전병곤 프렌들리 AI 대표는 "독자 추론 기술로 GPU 개수를 대폭 줄여 챗GPT 10분의 1 가격 실현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기업용 AI 에이전트 '챗엑사원'은 이미 내부 검증을 마쳤다. LG그룹 사무직 65%인 5만명이 활용 중이다. 최정규 AI에이전트그룹장은 "심층 리서치 기능이 챗GPT, 구글 제미나이와 동등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의료 영역에서는 파격적 성과를 거뒀다. '엑사원 패스 2.0'이 DNA, RNA 정보와 병리조직 이미지를 학습해 2주 걸리던 질병 진단을 1분 내로 단축시킨 것이다.

금융 분야 진출도 본격화한다. 런던증권거래소그룹과 협력해 투자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를 출시한다. 이화영 AI사업개발부문장은 "3분기 내 상용화가 목표"라고 밝혔다.

보안을 중시하는 기업들을 위한 솔루션도 등장했다. '엑사원 온프레미스'는 퓨리오사 AI의 신경망처리장치를 적용해 엔비디아 GPU 대비 2.3배 전력 효율성을 달성했다.

실제 수주 실적도 따라왔다. LG는 엑사원으로 1000억원 규모 B2B 계약을 성사시켰다. 이홍락 공동 연구원장은 "에이전틱 AI에서 피지컬 AI로 진화 속도를 높이겠다"고 향후 계획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