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감만 부두 [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김제영 기자] 수출과 설비 투자 등 제조 업황이 악화하는 가운데 정부가 현재 국내 경제상황을 석 달째 ‘둔화’로 판단했다.
기획재정부는 14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4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경기 둔화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판단의 근거로는 수출·설비투자 부진 등 제조 업황을 언급했다.
지난 2월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3.2% 감소했고, 3월 수출은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정보기술(IT) 제품 부진으로 작년 동월 대비 13.6% 줄었다.
내수 부문에 대해선 대면 활동 부문을 중심으로 완만히 회복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 2월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 대비로 0.7%, 소매판매는 5.3% 증가했다.
3월 소매판매 속보 지표는 긍정적이다. 작년 동월 대비 백화점 매출액 증가율은 7.2%로 지난 2월(5.2%)보다 높아졌다. 신용카드 국내 승인액 증가율도 0.9% 상승한 9.0%로 확대됐다.
물가 상승세는 둔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2%로 지난 2월(4.8%)보다 0.6%포인트 둔화했다. 다만 농산물·석유류 제외지수는 4.8% 상승했다.
주택시장은 매매 및 전세가격 하락 폭이 전월보다 다소 축소됐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대외적으로는 중국 리오프닝 효과에 대한 기대와 함께 통화 긴축에 따른 취약부문 금융 불안과 러시아·우크라 전쟁 장기화 영향 등 하방위험이 교차하며 세계경제 불확실성이 지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