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글로벌 ESS 시장의 90%를 차지하는 LFP 배터리를 국내에서 본격 생산하며 중국 공급망 의존도를 낮춘다. 비중국권 유일의 양산 경험을 국내에 이식해 소재·부품·장비 생태계 육성에도 나선다.

LG에너지솔루션은 17일 충북도와 함께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 추진 기념 행사'를 열고 국내 에너지 산업 생태계 강화 및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사진=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은 17일 충북도와 함께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 추진 기념 행사'를 열고 국내 에너지 산업 생태계 강화 및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말부터 생산 라인 구축을 시작해 2027년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 초기 생산은 1GWh 규모로 시작해 시장 수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대를 검토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비중국권 기업 중 유일하게 ESS용 LFP 배터리 양산 체계를 갖췄다. 2024년 중국 남경 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했고 올해 6월부터는 미국 미시간 공장에서도 제품 생산에 들어갔다. 이 같은 양산 경험을 바탕으로 올해 3분기 말 기준 약 120GWh에 육박하는 수주 잔고를 확보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 같은 성공 경험과 노하우를 오창 에너지플랜트에 그대로 이식한다. 국내 양산 체계 부족으로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하는 LFP 소재 등을 충북도 및 국내 소부장 협력업체와 공동 기술 개발, 단계적 공급망 협력 등 사업적 교류를 확대한다.

김형식 LG에너지솔루션 ESS전지사업부장은 "오창 에너지플랜트는 모든 제품 개발과 제조의 허브 역할을 하는 마더 팩토리"라며 "ESS용 LFP 배터리를 생산하는 것은 국내 ESS 산업 생태계의 더 큰 도전과 도약을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