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국감장에 처음 모습을 드러내 홈플러스 사태 관련 입을 열었다.

14일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정무위 국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홈플러스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 관련 의원들의 질의에 답했다.

김광일MBK파트너스 회장 (사진=연합뉴스)

김 회장은 이날 오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진행된 공정거래위 국정감사의 증인으로 출석해 “MBK가 과연 시장에, 우리나라 대한민국 경제에 순기능을 진짜 남겼느냐”는 이강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적에 이같이 답했다.

김 회장은 “홈플러스 임직원 및 이해관계자 처우에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했다. 김 회장의 국회 국정감사 출석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의원은 이날 김 회장과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을 상대로 “홈플러스 사태는 MBK의 무리한 차입과 인수, 투자 미이행, 경영전략 부재가 누적돼서 발생했다고 저는 결론 내리고 있다”며 “그럼에도 MBK는 홈플러스 소상공인과 마트 노동자를 볼모로 정부 지원 얘기만 자꾸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MBK파트너스가 지난 9월 홈플러스에 대한 최대 2000억원 규모의 증여를 약속한 점을 언급하며 “그런데 미래 수익이 발생해야 시행할 수 있다는 조건 붙여 놨다. 역시 안 하겠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과거 3000억원 지원도 증여, 보증 다양한 방식이 혼합돼서 실제 현금 투자가 얼마 됐는지 도대체 알 수가 없다”며 “협력업체와 채권단에서는 생색내기, ‘소나기는 피하고 보자’는 면피용이라고 인식하는 것”이라고 했다.

또 이 의원은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사태와 관련해 “소비자 보호를 위한 보안투자는 뒷전으로 하고, 매각에만 몰두하기 때문에 일이라는 게 시장에서 보는 해석”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기업의 고용, 지역사회에 대한 지원은 미흡한데 수익 구조에만 너무 연연하신다”며 “지역 주민들이라든가, 소상공인들을 위해서 상생할 마음이 없으신가”라고 했다.

김광일 부회장은 “회생절차 이후에 소상공인에 대한 회생채권은 전액 변제했다”며 “이제 지금 대기업들의 회생채권하고 금융 채권자들이 저희가 남아있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부분은 회생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해서 변제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