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포스코홀딩스가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핵심광물 연구의 현지화 전략을 본격화한다. 국내기업 최초로 호주 퍼스에 원료광산 연계 전문 연구소를 설립하고, 글로벌 연구기관 및 현지 원료회사와 협업체계를 가동한다.

포스코홀딩스는 30일(현지시간) 서호주 퍼스에서 '호주핵심자원연구소'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과 김기수 미래기술연구원장, 호주 원료회사 및 연구기관, 대학 관계자 등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 2고로. (자료=포스코)

이번 연구소 설립은 철강·이차전지소재 원료와 희토류 등 핵심광물의 안정적 확보와 원가절감, 저탄소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포스코는 호주 현지 원료사, 연구기관과 함께 철강 및 이차전지 원료 활용기술, 희토류 제련기술 공동개발에 나선다.

포스코그룹은 1980년대 초부터 호주와 철광석, 리튬 등 핵심광물 공급망을 구축해왔다. 현재도 로이힐 철광석 광산 개발과 PLS와의 수산화리튬 합작 사업 등으로 안정적인 원료 조달에 힘쓰고 있다.

호주핵심자원연구소는 경제적 저탄소 철강 원료 활용기술, 리튬·니켈 등 이차전지소재 원가절감 기술, 희토류 분리정제 등 핵심광물 연구개발의 허브 역할을 맡는다.

포스코는 현지 정보교류를 통해 글로벌 우수 광산 투자 기회도 적극 모색할 방침이다.

장인화 회장은 "호주의 자원과 포스코의 기술을 결합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자원 가공기술 및 핵심광물 확보의 전략적 거점으로 삼겠다"고 말했다.

이어 "기술과 사업전략의 연계를 통해 사업별 난제를 해결하겠다"며 한-호주 경제협력위원장으로서 양국 산업 발전에 앞장설 뜻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