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와 부산교육대학교는 오는 2027년 양교 통합 출범을 앞두고 학생사회의 상호 이해와 연대를 위한 2025 부산대-부산교대 학생회 하계 발전 네트워크 구축 워크숍을 28일과 29일 이틀간 경주 성호리조트에서 공동 개최했다고 밝혔다. (자료=부산대학교)

[한국정경신문(부산)=박순희 기자] 부산대학교(총장 최재원)와 부산교육대학교(총장 박수자)는 오는 2027년 양교 통합 출범을 앞두고 학생사회의 상호 이해와 연대를 위한 2025 부산대-부산교대 학생회 하계 발전 네트워크 구축 워크숍을 28일과 29일 이틀간 경주 성호리조트에서 공동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부산대 총학생회가 주관하고 부산교대 비상대책위원회가 공동 참여한 행사로 양교 학생회(총학생회, 단과대 학생회, 동아리연합회 등) 및 일반 학생 등 총 118명이 참석해 미래 공동체로의 비전과 과제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 행사는 지난해 2024년 1월 양교 간 첫 발전 네트워크 구축 워크숍 개최 이후 세 번째로 열린 것으로 통합을 앞둔 양교 학생들 간의 유대감을 증진시키고 향후 공동 프로젝트 및 연합 행사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이번 워크숍은 ▲청렴교육 특강 ▲학생 대표자 간 공동 거버넌스 포럼 ▲캠퍼스 교류 및 공동 행사 제안 토의 ▲아이스 브레이킹 및 팀 빌딩 등으로 진행됐으며 학생 스스로가 교류와 연대의 중심이 돼 미래 통합 공동체의 청사진을 그리는 데 집중했다.

특히 ‘2027년 통합 대비, 학생 공동 거버넌스 구축 방안’을 주제로 한 특강에서는 양교 학생 대표자들이 실제 운영 중인 학생회 구조와 문화의 차이를 공유하며 학생 자치의 통합적 방향성과 실천 전략을 모색했다.

부산대 사범대학 학생회장과 부산교대 비상대책위원장이 공동 진행한 이 발표에서는 ▲글로컬대학 본지정에 따른 변화 이해 ▲학사 및 캠퍼스 환경의 상호보완 방안 ▲공동행사의 정례화 필요성 등이 제안되며 ‘통합 이후에도 다양성과 자율성이 보장되는 학생 자치 모델’ 구축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이어졌다.

또 10인 1조로 진행된 저녁 토의에서는 ‘통합대학 슬로건 공모’, ‘통합 캠퍼스 공동 행사 아이디어’, ‘SNS 통합 홍보 채널 구축’ 등 향후 실현 가능한 공동 사업들이 다수 제안됐으며 그 결과는 발표와 평가로 이어져 높은 참여 열기를 보였다.

이번 행사를 주최한 부산대 총학생회 최수인 회장은 “두 학교 간 통합은 행정적 결합이 아니라 구성원의 신뢰와 이해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양교 학생사회의 자발적 만남과 연대를 통해 진정한 공동체 문화를 만들어가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창근 부산대 학생처장(디자인학과 교수)은 “앞으로도 양교 학생 주도의 소통과 상생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며 정례 교류, 학생회 정책 포럼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