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7년 이상 5000만원 이하 장기연체채권을 소각하는 ‘배드뱅크’ 프로그램의 재원 절반을 전 금융권이 함께 부담하게 됐다.

7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총 8000억원 규모의 배드뱅크 소요 재원 중 4000억원을 은행권을 비롯해 금융투자, 보험, 여신전문금융회사,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전 금융권에서 조달하기로 했다. (사진=연합뉴스)

7일 연합뉴스와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총 8000억원 규모의 배드뱅크 소요 재원 중 4000억원을 은행권을 비롯해 금융투자, 보험, 여신전문금융회사,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전 금융권에서 조달하기로 했다. 나머지 4000억원은 2차 추경예산으로 마련된다.

당초 은행권만 참여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소각 대상 채권의 상당 규모를 2금융권이 보유하고 있는 점이 고려되면서 전 금융권 참여로 방향이 바뀌었다.

은행권은 그간 2~3금융권의 부실 여신을 은행 출연금으로만 소각하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며 2금융권 참여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다만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화 등으로 경영 상황이 좋지 않은 2금융권의 현실을 고려해 과도한 출연금 요구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오는 9월까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산하에 채무조정기구를 설립하고 연내 장기 연체채권 매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구체적인 배분 방식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