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티움이 태국 방콕에서 ‘2025 덴티움 임플란트 엑셀런스 포럼’을 성공적으로 끝마쳤다. (자료=덴티움)

[한국정경신문=박진희 기자] 덴티움이 태국 방콕에서 ‘2025 덴티움 임플란트 엑셀런스 포럼’을 성공적으로 끝마쳤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제품 중심의 단순한 소개를 넘어 실제 임상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디지털 기반 술식 전략과 연조직 관리 솔루션을 공유하는 자리가 됐다. 태국 현지 및 아시아 치과의사들이 대거 참석해 큰 관심을 모았다.

이번 포럼은 ‘디지털 미니멀리즘’이라는 콘셉트를 중심으로 브라이트 임플란트 시스템과 디지털 워크플로우, 소프트 티슈 매니지먼트 등에 이르기까지 술자 중심의 임상 효율성과 환자 중심의 예측 가능성을 아우르는 솔루션을 실질적으로 제시했다. 복잡한 임플란트 수술 과정을 간소화하면서도 보다 확실한 결과를 구현할 수 있는 전략에 초점이 맞혀졌다.

포럼의 첫 강연은 수폰텝 교수가 ‘Brighter bright implant when tissue augmentation at the right time’라는 연제로 적절한 시기의 조직 증강이 임플란트 성공의 핵심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이어갔다.

그는 “브라이트 임플란트와 같이 간결한 시스템일수록 그 성능을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해선 soft tissue augmentation의 시기와 방식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심미영역에서의 성공적 결과를 위해서는 식립 전·중·후 어떤 시점에 조직을 증강할지를 정확히 판단해야 하며, 그 전략적 접근이 임플란트의 안정성과 심미성을 결정짓는 요인임을 실제 임상 사례를 통해 보여주었다.

수폰텝 박사는 “조직 증강의 타이밍이 임플란트의 밝기를 결정한다”며 “브라이트 임플란트의 장점을 극대화하는 술식은 ‘언제 증강할 것인가’를 아는 데서 출발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성민 원장(덴티움치과)이 다음 연자로 나서 ‘The NEXT in implant for digital Minimalism’이라는 주제로 디지털 기반의 임플란트 시스템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브라이트 임플란트가 단순화된 수술 프로토콜과 강력한 골 유착, 높은 보철 연결 안정성을 바탕으로 복잡한 과정을 줄이면서도 정밀도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태퍼드바디 구조와 원스탑드릴링 시스템, 헥스 연결 방식이 조화를 이루어 임상가에게는 간편한 사용성과 환자에게는 빠른 회복과 예측 가능한 결과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브라이트 CT와 신제품인 핀 가이드를 활용한 디지털 가이드 수술 전략을 소개하며 “복잡한 과정을 단순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순함 자체로 정밀한 결과를 만드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음으로 타차콘 박사가 ‘Speed up the treatment with bright implant: the new design for primary stability’ 라는 주제로 브라이트 임플란트의 새로운 설계가 어떻게 빠른 치료 진행과 높은 초기 안정성을 가능케 하는지를 중심으로 발표했다. 그는 고정력을 극대화하는 쓰레드 구조와 테이퍼 설계, 연조직 친화적 디자인이 결합된 브라이트 임플란트가 소프트 본에서도 강한 골착을 형성해 술자의 자신감을 높여준다고 밝혔다. 또한 프로토콜의 간소화와 외과적 절차의 최소화는 숙련도와 관계없이 일정한 결과를 제공하며, 빠른 로딩까지 가능하게 해 치료 기간 단축과 환자의 만족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마지막 강연으로는 펜폰 박사가 ‘The Power of bright CT in bright implant’라는 주제로 브라이트 CT와 브라이트 가이드 킷의 통합 활용을 통해 어떻게 시술 정확성과 환자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지를 다양한 임상 사례와 함께 공유했다. 고해상도 3D 영상 기반 진단을 통해 골질, 해부학적 구조, 신경 위치 등을 사전 정밀 분석한 후, 브라이트 가이드 킷 및 핀 가이드를 활용한 디지털 가이드 수술이 시행되면 오차 없는 식립이 가능해진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브라이트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임상가라면 브라이트 CT와 브라이트 가이드 킷, 특히 초기 식립 위치를 안정화하는 핀 가이드를 함께 활용해야 시스템의 강점을 온전히 체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자료=덴티움)

이날 마지막 세션으로 진행된 실습에서는 수폰텝 박사와 펜폰 박사가 직접 핸즈온을 지도했다. 참가자들이 브라이트 가이드 킷 및 핀 가이드를 활용해 본 레벨 및 티슈 레벨 브라이트 임플란트를 식립해 보는 기회를 제공했다. 참가자들은 실습을 통해 브라이트 임플란트 시스템의 단순함, 정확성, 디지털 워크플로우와의 호환성을 직접 체험했다. 이 시스템이 어떻게 실제 임상 현장에서 안정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실현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덴티움은 이번 포럼을 통해 브라이트 임플란트 및 디지털 시스템 기반의 임상 전략을 아시아 지역에 최적화하여 소개했다. 이로써 제품 중심이 아닌 치료 솔루션 중심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단순함, 사용 편의성, 결과의 예측 가능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은 실제 임상가들의 고민에 정면으로 응답하며 강한 반향을 일으켰다.

덴티움 관계자는 “이번 포럼은 단순한 제품 홍보가 아닌, 현지 의료진과 함께 실질적인 임상 개선 방향을 모색한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임상 기반 포럼을 지속 개최해 덴티움의 철학과 기술력을 널리 알릴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덴티움은 오는 11월 방콕에서 ‘2025 Dentium World Symposium’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포럼을 시작으로 브라이트 임플란트와 디지털 미니멀리즘 콘셉트, 글로벌 KOL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 임상 교육 프로그램을 본격화하며, 세계 디지털 덴티스트리 리더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