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하되 은행부터 점진적으로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9일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 정책 관련 추가 보고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회 기획재정위에 출석한 이 총재는 스테이블코인 도입 시점·발행 주체 등과 관련한 의원들의 질문에 “앞으로 화폐에 프로그램 기능을 넣기 위해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꼭 필요하지만 은행부터 도입한 뒤 점진적으로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발행 주체 조건으로 KYC(고객신원확인) 시스템을 갖춘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을 제시하면서도 “비은행 대기업 허용 시 기존 은행 중심 금융구조 변화에 대한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자본 규제 우회 가능성도 우려 사항으로 언급했다. 그는 “자본자유화를 허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이를 돈 많은 내국인이 바이낸스 등 해외 기관에 넣어두면 우리나라 원화 예금을 해외에 보유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심각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통화 정책 측면에서도 지급준비율로 은행을 통해 통화량을 조절하는 경우와 비교해 유효성 등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을 우려했다.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에 종속되기 전에 빨리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해 대체해야 한다는 주장에도 “전체 스테이블코인의 99%가 달러 기반인데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면 달러 스테이블코인 수요가 줄어들 것이냐에 관해서는 회의적”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국내 가상자산이 얼마나 발전하는지 보면서, 지급 수단인 스테이블 코인은 시간을 두고 점차 도입하자는 것이 한은의 공식 견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