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지자체와 국가·공공기관에서 안전하게 사용 가능한 '공공 전용 클라우드(G-Cloud) 기반 재택근무 시스템'을 개발해 운영한다고 6일 밝혔다. [자료=KT]

[한국정경신문=송정은 기자] KT가 6일 지자체와 국가·공공기관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공 전용 클라우드(이하 G-Cloud) 기반 재택근무 시스템'을 개발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그 동안 지자체에서 사용하던 VPN 기반의 재택근무 방식은 특정 행정 시스템에만 접속해야만 이용이 가능했다.

이로 인해 예상치 못한 자가격리 상황이 발생한 경우 대무자가 업무를 대신 처리해야만 했고 재택근무를 위해 사용한 노트북은 반납 시 매번 포맷을 진행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했다.

이번에 KT가 개발한G-Cloud 기반 재택근무 시스템은 사용자별 권한에 맞는 고유 업무 수행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국정원 재택근무 보안기준을 충족한 솔루션이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주관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CSAP)도 따냈다.

KT는 전용회선 구축부터 G-Cloud까지 통합 제공이 가능한 유일한 사업자로 더 안전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지자체들의 재택근무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KT 관계자는 "G-Cloud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든 업무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진행된다"며 "개인 PC에는 남는 자료가 없어 행정문서 유출 우려가 낮다. 또 사내 메신저 사용도 가능해 내근자와 재택근무자 간 소통도 원활하게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KT 전남전북광역본부장 서창석 전무는 "G-Cloud 기반 재택근무 솔루션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시민을 위한 서비스는 끊기지 않아야 한다는 고민에서 개발이 시작됐다"며 "KT가 강력한 보안성과 효율 높은 트래픽 관리를 제공해 지자체가 직원의 안전을 보호하고 대국민 서비스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달부터 지자체 최초로 KT의 G-Cloud 기반 재택근무 시스템을 도입해 운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