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지난달 주택 거래 증가로 주택담보대출이 늘면서 은행권의 가계대출이 6조원 확대됐다.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을보면 5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109조6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6조원 많았다.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을보면 5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109조6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6조원 많았다. (자료=연합뉴스)

은행권 가계대출은 올해 3월 1조7000억원 반짝 감소한 뒤 4월부터 두달 연속 증가했다. 특히 5월 증가 폭은 지난해 10월 6조7000억원 증가 이후 7개월 만에 최대 폭이다.

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이 5조7000억원,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이 3000억원 각각 늘었다.

주담대는 주택거래 증가 등에 따른 자금수요가 지속되고 주택도시기금 정책대출이 이차보전 방식으로 공급되면서 증가폭이 확대됐다.

기타대출은 계절적 자금 수요(가정의 달 등) 등으로 전월에 이어 소폭 증가했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이날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을 보면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역시 지난달 5조3000억원 늘었다. 주담대는 5조4000억원이 증가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은 2000억원 감소했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가계대출이 6조원 늘어 전월 5조1000억원 보다 증가폭이 커졌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7000억원 뒷걸음쳤다. 여신전문금융사, 저축은행, 보험사에서 각각 7000억원, 1000억원, 1000억원이 늘었지만 상호금융에서 1조6000억원이 급감한 영향이다.

금융당국은 “5월 전금융권 가계대출이 전월에 이어 증가하였는데, 이는 주택매매·전세거래량 회복, 은행재원 디딤돌·버팀목 대출 수요 증가에 따른 은행권 주담대 증가에 기인한 바가 크다”며 “향후 금리, 주택시장 등 거시경제 여건에 따라 증가폭이 확대될 수 있는 만큼 주택시장 동향 및 가계대출 증가 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 가계대출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