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순천)=최창윤 기자] 최근 일부 언론이 자극적인 표현과 과장된 추측성 기사들을 무분별하게 보도하면서 지역사회에 심각한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사실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내용들과 정치적 의도를 담은 기사들이 확산되면서 시민들의 불안감과 행정에 대한 신뢰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
최근 한 인터넷 매체는 광양시가 2차전지, 수소산업, 스마트 항만 등 국가 핵심 산업과 관련해 국가기획위원회의 시야에서 벗어났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는 사실관계에 기반하지 않은 자의적 해석일 뿐이며 해당 보도는 행사 중심 행정과 행정 무책임이라는 비판을 연결 지으려는 시도로 객관성과 증거가 결여된 주장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국정기획위원회의 지역 방문 일정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등의 정책 우선순위와 전략적 판단에 따라 조정되는 사안으로 광양시는 이미 스마트 항만 조성, 수소 및 2차전지 기반 산업단지 구축, AI 물류기지 확대 등을 위한 정부 협의를 진행 중이며 광양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스마트 물류복합도시 조성은 정부의 ‘2030 항만 정책’에 명시된 국가사업이다.
따라서 광양시가 국가 전략에서 배제됐다는 표현은 사실을 왜곡한 프레임일 뿐이다.
또 문제가 된 해당 기사에서는 2025년 7월 19일 국정기획위가 지역을 순회하며 국가 미래 전략을 구상하는 중차대한 날 광양시의 공식 일정이 ‘삼계 DAY’, ‘닭백숙 나눔’, ‘치킨데이’였다는 점을 들어 시장이 “정부 접촉엔 관심없이 사진만 찍고 있다”고 비판했다.
실제 정인화 광양시장은 19일 오전부터 폭우로 인한 피해 현장을 직접 점검하고 현안 업무 보고 등 주민과 현장 관계자들을 만나 복구 상황과 추가 피해 방지 조치를 논의했다. 이어 아무런 맥락 없이 광양시 내부 어디에도 통계가 존재하지 않는 2024년의 시점을 말하며 출처도 명시되지 않은 상반기 결재는 월 7회에 불과하고 회당 1시간 20분이라는 세부 수치를 단정적으로 제시했다.
이와같은 내용들은 기본적인 취재 절차조차 거치지 않은 채 정치적 의도를 담은 ‘기획기사’로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언론의 행정 감시와 비판은 당연한 책무지만 그 권한은 사실에 기반할 때에만 정당성을 가진다. 날짜가 틀리고 수치가 조작되며 맥락이 왜곡된 보도는 사실 왜곡을 넘어 현실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일이다.
지역의 한 A언론인은 “선거를 앞둔 언론의 최우선 덕목은 팩트체크와 교차검증”이며 “뿌리도 없고 검증안된 기자가 너무 많아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또 B언론인은 “순천에 기자가 500명 광양이 450명이다. 누가 누군지도 모르고 광고달라고 하루 10통씩 전화을 받는다고 시관계자가 애로사항을 말한다”며 “이번 기회에 정리할 시점이다”고 말했다.
한국기자협회가 제시한 ‘선거보도준칙’에 따르면 언론은 사실을 철저히 확인하고 공정성과 객관성을 바탕으로 유권자의 판단을 왜곡해서는 안된다.
한편 지난 1일 노관규 순천시장 민선 8기 3주년 기자간담회 말미에 C기자가 질문을 받지 않는다는 이유로 고성을 지르고 욕설을 해 지역사회 파장이 일었다. 이재명 정부가 새롭게 출발했다. 이번 기회에 지역 언론인 정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지역의 A기업은 전남에 소재하고 포털 네이버에 기사 노출과 1년이 경과해야 광고 수주 자격을 얻는다. 그래서 관리하는 언론사는 대략 50여곳이다. 누가 누군지를 안다. 전남지역외 언론사는 서울 본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