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의정 갈등 상황에서 당장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늘었지만, 향후 이들을 이어갈 전공의 수는 정원의 10%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시내 한 상급종합병원 응급의료센터 앞에 환자를 이송한 구급차가 주차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6일 국회 보건복지위 김미애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 말 전국 권역응급의료센터 44곳의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511명으로 전년 대비 8% 증가했다.
그러나 올해 응급의학과 전공의 1년차 정원 224명 중 실제 확보된 인원은 15명(6.7%)에 불과했다. 정원 대비 확보율은 2021년 91.7%에서 지속 하락해 올해 10% 미만으로 급락했다.
의정 갈등으로 전공의 사직률도 급증했다. 2021년 2.2%였던 사직률이 작년에는 89%까지 치솟았다. 임용대상자 608명 중 541명이 그만뒀다.
현장에서는 전공의 부족으로 전문의 채용을 늘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9월 전공의 복귀가 기대되지만, 응급의학과 같은 비인기 과목의 복귀는 비관적이라는 전망이다.
대한응급의학회는 “응급의학과 의사를 안정적으로 수급하려면 공공의대 설립이 아니라 형사 처벌 면제, 민사 손해배상액 상한 제한 등 법·제도적 개선과 응급의료에 대한 공정한 보상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미애 의원은 “전공의 근무 여건 개선, 지역 의료기관에 대한 유인책 확대, 권역응급의료센터 기능 보강 등 다양한 방안을 국회 차원에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