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챗GPT 그룹채팅 기능이 한국에 시범 도입된다. 오픈AI는 그룹채팅 기능으로 협업·소통하는 공유공간을 만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오픈AI는 14일 같은 대화창 내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와 대화를 나누며 협업할 수 있는 그룹 채팅 기능을 한국에 시범 도입한다고 밝혔다. 그룹 채팅을 이용하면 친구, 가족, 동료를 하나의 창에 초대해 계획을 세우거나 논의하고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수 있다.

오픈AI가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와 대화를 나누며 협업할 수 있는 그룹 채팅 기능을 한국에 시범 도입한다.(사진=오픈AI)

오픈AI 측은 “이번 파일럿은 챗GPT에서 공유 경험을 만들어 가는 초기 단계”라며 “한국과 함께 일본, 뉴질랜드, 대만 등 일부 국가에 먼저 도입됐다”고 설명했다.

그간 개인화된 서비스로 생성형 AI 혁명을 이끌어 낸 오픈AI가 그룹 채팅 실험을 통해 소셜 네트워킹과 메신저 서비스로까지 영역 확장에 본격 발을 들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룹 채팅은 새 대화 혹은 기존 대화 화면의 오른쪽 상단에 있는 사람 모양 아이콘을 탭해 다른 사용자를 추가해 시작할 수 있다. 참여자는 최대 20명까지 가능하다. 채팅 링크를 통해 누구나 초대하거나 참여할 수 있다.

그룹 채팅에서 챗GPT의 답변이 필요하면 챗GPT라고 언급하면 된다. 채팅 메시지에 이모지를 반응으로 남기는 등 소셜 기능도 추가됐다.

대화 참여자들의 프로필 사진 생성도 가능하다. 그룹 채팅은 개인 대화와 분리돼 개인적으로 쓰는 메모리가 타인과 공유되지 않는다. 만 18세 미만 사용자가 이용하는 경우 그룹 전체에 민감한 콘텐츠 노출을 줄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부모나 보호자는 부모 통제 기능을 통해 그룹 채팅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김경훈 코리아 총괄 대표는 "“그룹 채팅 기능은 사용자가 친구, 가족, 동료들과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의사 결정을 내리고, 창의적인 시도를 해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며 “챗GPT가 다른 사람들과 함께 협업하고 소통하는 공유 공간으로 나아가는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을 포함한 초기 시범 운영 국가의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