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부동산 PF 빨간불..금융연구원, 신용공여 비중 높아 위험 확대

유길연 기자 승인 2019.06.24 11:13 | 최종 수정 2019.06.24 11:15 의견 2
증권사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관련 채무보증(PF)에 대한 위험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다. 지난해 증권사들의 부동산 PF 채무보증 가운데 신용공여 비중이 늘었다. (자료=한국금융연구원) 

[한국정경신문=유길연 기자] 증권사들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관련 채무보증에 대한 위험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다. 저축은행 부실사태 이후 증권사들은 제도의 빈공간을 파고들어 위험 수준이 높은 신용공여를 늘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3일 한국금융연구원이 발간한 '금융브리프'에서 신용상 선임연구위원은 "증권사의 PF 관련 채무보증 현황을 보면 유동성공여에 비해 신용공여 비중이 높아 상대적 위험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신용상 연구원에 따르면 신용공여는 시행사가 대출을 못 갚았을 때 증권사가 일부 상환·매입책임을 지게 돼 위험 수준이 유동성공여에 비해 훨씬 높다. 유동성 공여는 신용등급 하락 등 문제가 발생하면 매입보장약정에 따른 의무가 없어진다.  그는 "신용공여의 비중이 높아 부동산 PF 채무보증과 관련된 부실이 현실화되면 증권사 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신 연구원은 증권사들의 신용공여 비중이 높아지는 이유로 증권사의 주요 재무건전성 지표인 영업용순자본비율(NCR) 산정 방식에 있다고 봤다. 현재 NCR 산정 기준에 따르면 부동산 PF 유동화 증권에 대한 유동성 공여와 신용공여의 위험액에는 동일한 신용환산율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증권사들이 실제 위험수준이 높은 이유로 상대적으로 더 많은 수수료를 받는 신용공여 위주로 채무보증을 늘리고 있다고 신 연구원은 설명했다.  

지난해 증권사 전체의 채무보증액은 24조1000억원으로 1년 전(17조 2000억원)에 비해 약 40% 급증했다. 신 연구위원은 저축은행 부실사태 이후 시공사들이 부동산 PF 연대보증을 꺼리고 있기 때문에 PF 관련 채무보증 대부분이 증권사로 이전됐다고 분석했다.

최근 금감원은 부동산 PF 채무보증이 늘어난 점을 문제삼아 증권사 4곳(메리츠종금증권, 하나금융투자, 하이투자증권, 현대차증권)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신 연구원은 "PF 사업 여건과 분양 성과에 따라 사업장별로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개별 사업장 현황을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며 "시장 여건에 따라 여러 PF 사업장의 대출·채무보증 건전성이 동시에 바뀔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