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새 8명 사망..한화 대전공장 예고된 '인재'로 김승연 경영복귀 '빨간불'

장원주 기자 승인 2019.02.15 15:38 | 최종 수정 2019.02.15 17:08 의견 0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한국정경긴문=장원주 기자] 지난해 5월 5명의 사망자를 낸 한화 대전공장에서 또다시 폭발사고가 발생해 14일 3명이 숨졌다.

한 공장에서 9개월 만에 노동자 8명이 숨지면서 한화 측의 안전관리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오는 18일 집행유예 만료를 앞두고 경영일선 복귀가 가시화되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에게는 최대의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김 회장은 '노조 파괴공장'에 이어 '안전 불감증'이라는 사회적 지탄이 쏟아져 사면초가에 처한 입장이다. 그룹 오너의 향후 행보에 한화그룹은 전전긍긍하는 형국이다.

경찰 등에 따르면 14일 오전 유도무기를 만드는 한화 대전공장에서 폭발사고가 나 김모씨(320 등 3명이 숨졌고 2명이 다쳤다.

사고는 로켓 추진체 분리 작업실에서 났다. 국내 기술로 만든 다연장 로켓포 천무 미사일 추진체에서 코어를 빼내는 과정이었다.

문제는 한화 대전공장에서는 지난해 5월에도 폭발사고로 5명이 숨졌다는 데 있다. 로켓 종류만 다를 뿐 연료를 넣고 빼는 과정에서 발생한 점은 비슷했다.

채 1년이 안 돼 폭발 사고가 재발한 이 공장은 한화 방산 전국 4개 사업장 중 한 곳이다. 회사 홈페이지 소개 글에는 유도무기 체계 종합추진기관으로 분류돼 있다. 국방과학연구소(ADD) 추진체 생산시설이던 곳을 1987년 한화가 인수해 운영 중이다.

한화는 화약기술을 바탕으로 1974년 방산 분야에 뛰어들었다. 유도무기, 탄약, 우주사업 등 투자를 바탕으로 국방 관련 사업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폭발 사고는 근로자들이 로켓추진 용기에 고체연료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나무 막대기 등으로 밸브를 치면서 생긴 충격에 따라 발생했다.

이 공장에서는 2015년 7월 폐수처리장 인근에서 발생한 폭발사고로 직원 6명이 숨진 적도 있다. 이때도 고용노동부가 안전?보건진단과 함께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해 폐수처리장 안전난간 설치 부실, 천정 크레인 후크 해지장치 설치 불량 등 각종 안전관리 소홀 혐의를 확인했다.

당시 김승연 회장은 "같은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그룹의 국내외 모든 사업장에서 철저한 안전 점검과 사고 예방 노력에 최선을 다하라"고 당부했지만 공염불에 그쳤다는 지적이다.

이번 사고는 한화 대전공장이 근로기준법을 수백건 위반하는 등 안전관리에 문제가 드러난 전형적인 '인재(人災)'라는 지적이다. 600여명이 넘게 근무하고 있지만 안전관리 담당자는 단 1명뿐이었다.

대전지방고용노동청이 지난해 6월 작성한 '한화 대전사업장 산업안전보건 특별감독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한화 대전공장은 모두 486건의 법 위반 사항이 지적됐다. 당시 노동청의 근로감독 결과서에는 근로자 안전 및 보건 총괄관리 부재와 안전보건교육 미실시, 유해 위험물질 취급 경고 미표시 등의 문제가 발견됐다.

이에 한화 대전공장 측은 이번 사고가 발생하자 "전 공정에서 외부 전문가 등의 자문을 얻어 위험성을 평가하고 개선했다"며 "안전팀 조직도 2배 이상 강화하고 투자비도 늘렸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사고로 숨진 인턴 직원은 채용전제형 인턴으로 수습 교육을 위해 현장을 참관하던 중 사고를 당해 주변을 안타깝게 했다. 한화그룹은 "해당 직원은 지난달 초 입사한 채용 전제형 인턴사원"이라며 "교육, 수습 차원에서 공실을 참관하던 중 사고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유가족들은 한화 측의 안전대책이 미흡했다고 거듭 주장했다. 한 유가족은 “(숨진) 남편이 지난해 폭발 사고 이후에도 똑같은 조건에서 근무를 했다고 한다. 사고 이후 추가된 안전장비라고는 방염복이 고작이었다고 들었다”며 “위험한 작업이다 보니 직급이 높은 사람들조차 일을 잘 모르고 피하는 탓에 신입직원들이 많다고 한다”고 말했다.

대전지방고용노동청은 이날 한화 대전공장에 전면 작업중지 명령을 내리고 사고현장에 감독관 9명을 파견해 조사에 착수했다.

이번 사고에 대해 한화 측은 즉각 사과 및 재발방지를 약속했지만 국민적 시각은 싸늘하다. 특히 김승연 회장 집행유예 직후 경영일선 복귀설이 뜨거운 가운데 터진 사고여서 김 회장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우세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