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리모델링 인기 지속될까..새 정부 부동산 정책에 달렸다

송정은 기자 승인 2021.12.17 10:59 의견 0
부동산부 송정은 기자

[한국정경신문=송정은 기자] 코로나 19로 인해 대형 건설사들의 해외수주가 부진하면서 국내 도시정비사업 수주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 그런데 도시정비사업 하면 떠오르는 재건축과 재개발사업 뿐 아니라 올해부터는 '리모델링' 사업분야가 각 건설사의 주요 먹거리로 급부상 하고 있는 중이다.

1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 11월까지 국내 주요 건설사들의 리모델링 총 누적 수주액은 6조3887억원에 이르고 있다. 이 금액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6배 가량 증가한 금액이다.

올해 시공능력평가 10위안에 드는 주요 건설사들 중 일부는 리모델링 전담 부서를 설치할 정도로 리모델링 사업에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

먼저 올해 리모델링 사업분야에서 눈에 띄는 행보를 보이고 있는 건설사는 포스코건설이다.

포스코건설은 올해 도시정비사업에서 누적 수주액 3조6916억원을 기록하면서 현대건설과 대우건설에 이어 3위를 기록 중이다. 포스코건설이 기록한 해당 누적 수주액은 역대 최고 실적이다. 이런 역대 최대실적을 견인한 효자는 다름 아닌 리모델링 사업이었다.

한 도시정비업계 관계자는 "포스코건설은 올해 아파트 리모델링 부문에서 1조626억원에 달하는 실적을 올리면서 포스코건설의 우량 경영 성적을 이끌고 있다"고 밝혔다.

포스코건설은 지난 10월 영등포구 신도림동의 '신도림 우성 3·5차 리모델링 사업'을 비롯해 송파 가락쌍용1차, 수원 삼성태영, 용인 수지동부, 용인 광교상현마을 현대아파트 등 수도권의 굵직한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권을 따내며 리모델링 사업 부문의 강자로 등극했다.

포스코건설 한 관계자는 "2013년 수직증축 리모델링을 허용한 주택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부터 포스코건설은 재건축이나 재개발과는 다른 리모델링 분야만의 사업성에 주목해왔다"며 "다른 건설사보다 빠르게 전담팀을 만들어 운용하면서 얻은 노하우를 리모델링 건설 현장에 적용하고 입주민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개선을 거듭하면서 올해와 같은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전담부서를 설치하며 리모델링 사업분야에 힘을 주고 있는 또 다른 건설사는 다름아닌 올해 시공능력평가 2위를 기록하고 현재까지 누적 수주액 1위를 달리고 있는 현대건설이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12월 리모델링 전담조직을 구성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올해 1월 용인 수지 신정마을9단지, 성동구 금호벽산아파트, 서초구 반포MV아파트, 서초구 잠원동아아파트 등 총 1조2159억원 규모의 리모델링 시공권을 따냈다.

특히 잠원동아아파트의 경우 대단히 까다로운 조건(강남권, 한강 인접 등)이 아니면 제안하지 않는다는 'THE H(디 에이치)'가 제안되면서 많은 관심을 모았다.

시공능력평가 순위는 뒤쳐지지만 리모델링 시장을 선도해온 건설사도 있다. 바로 쌍용건설이다. 쌍용건설은 지난 2000년 업계 최초로 리모델링 전담팀을 꾸리며 리모델링 사업분야에 많은 공을 들여왔다.

쌍용건설은 올해도 지난 10월 말 기준 전체 리모델링 가구수 42% 가량을 수주하면서 리모델링 준공실적 1위를 기록 중이다. 올해 경우 광명철산한신아파트와 송파 가락쌍용1차아파트 등의 리모델링 사업권을 획득한 바 있다.

이처럼 리모델링 사업분야에 건설사들이 적극적으로 나선 이유는 무엇일까.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분양가상한제가 도입되고 대출이 막히는 등 각종 규제로 인해 재건축이나 재개발 같은 전통적인 아파트 정비사업이 지지부진하다"며 "리모델링은 그에 비해 규제 강도가 심하지 않고 공사기간도 짧아 건설사 입장에서는 당연히 선호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내년에도 중대형 건설사들이 리모델링 전담조직이나 인력을 확충하면서 더 적극적인 경쟁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건설사들이 리모델링에 몰리는 이유는 규제 때문이다. 수익성에서 훨씬 앞선 재건축과 재개발이 각종 규제로 묶여있기 때문이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부동산 정책은 가장 뜨거운 이슈다. 내년 새정부에서 도시정비사업과 관련해 규제가 완화된다면 리모델링 열기가 올해보다 식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부동상 시장 참여자들이 대선 결과를 관심있게 지켜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